top of page

불효자(不孝子)는 웁니다[출처] 불효자(不孝子)는 웁니다

부처님께서 대중들과 함께 남방으로 가시다가 한 무더기의 마른 뼈를 보시고 예배를 드리자 아난과 대중이 그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이 한 무더기의 마른 뼈가 혹시 내전생의 오랜 조상이거나 부모님의 뼈일수도 있기에 내가 지금 예배를 올린다고 말씀하시며 아난에게 부모와 자식의 인연에 대해 설법하신다.

어머니가 아이를 갖게되면

첫달에는 태아가 풀잎에 맺힌 이슬과 같고

두달이 되면 태아가 엉킨 우유처럼 되고

세달이 되면 태아가 엉킨피와 같으며

네달이 되면 점차로 사람의 모양을 갖추며

다섯달이 되면 머리/두팔과 두무릎이 생기고

여섯달이 되면 눈.귀.코.입.혀가 생기고 마음이 열리며

일곱달이 되면 360여개의 뼈마디와 8만4천개의 털구멍이 생기고

여덟달이 되면 의식과 지혜가 생기면서 9개의 구멍이 뚜렷해지고

아홉달이 되면 무언가를 먹기 시작하며

열달이 되면 비로소 태어나게 되는데

효순(孝順)할 자식은 두손 모아 합장하고 나오고

오역(五逆)의 죄를 범할 자식이면 아기집을 찢고

손으로는 어머니의 심장이나 간을 움켜쥐고 발로는 골반을 밟아 천개의 칼과 일만개의 송곳으로 심장을 쑤시는것 가튼 고통을 주게된다.

이가튼 고통을 주고 이 몸을 받았기에 부모님의 은혜는그 무엇으로도 갚을 길이 없다.

부처님께서는 부모님을 양쪽 어깨에 모시고 수미산을 다 돌아도 그 은혜에는 감히 미치지 못한다고도 말씀하셨다.

부모은중경 에서는

부모님의 은혜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첫째.

몸에 품어 보호해주신 은혜.

여러 겁이 거듭하여 온 무거운 인연으로 이제 이승에 와서 어머니 모태에 들었네.

날이 지나면서 오장이 생겨나고 일곱달이 되어 육정이열렸네.

몸은 무겁기가 태산과 같고 거동 할때마다 찬바람과 재앙 조심하며 좋은 비단옷 두고도 입지 않으시고 매일 단장하던 화장대에는 먼지만 쌓였네.

둘째.

낳으실때 고통받으신 은혜.

잉태하시어 열달이 지나니 어려운 해산달이 다가오네.

매일 아침마다 흡사 중병 든 사람같고 날마다 정신마저흐려지고 두려움을 어찌다 기억하며 근심의 눈물은 가슴을 적시네.

슬픈 빛을 띠우고 주위에 하는 말.

이러다가 죽지 않나 죽지 않을까 겁이나네.

셋째.

자식 낳고 근심을 잊으신 은혜.

자애로운 어머니가 그대를 낳던 날 오장이 모두 찢기고 벌어졌네.

몸과 마음이 함께 기절하였고 피흘린 자리가 양을 잡은듯하네.

낳은 아이 건강하다는 말 듣고 그 기쁨이 배로 되었네.

기쁨이 가라앉자 다시 슬픔이 오면서 아픔이 심장까지 사무쳐오네.

넷째.

쓴것 삼키고 단것 뱉아 먹이는 은혜.

무겁고 깊으신 부모님 은혜 베푸시고 사랑하심은 한시도 변함없이 단것은 다 뱉으시니 잡수실것 무엇이며 쓴것만을 삼키셔도 싫어함이 없으시네.

사랑이 무거우니 정을 참기 어렵고 은혜가 깊으니 슬픔만 더해지네.

다만 아이가 배 부르기만을 바라시고 자애로운 어머니는 굶주려도 만족하시네.

다섯째.

진자리 마른자리 가려 누이는 은혜.

어머니 당신은 젖은 자리 누우시고 아이는 안아서 마른자리 찾아 뉘시네.

두젖을 먹여 목마름을 채워 주시고 고운 옷 소맷자락으로는 찬바람을 막아주시네.

아이 걱정에 밤잠을 설치셔도 아이 재롱으로 기쁨을 누리시네.

오직 하나 아이만을 편하게 하시고자 자애로운 어머니는 불편도 마다 않으시네.

여섯째.

젖을 먹여 길러주신 은혜.

어머니의 깊은 사랑 땅과 같고 아버지의 높은 은혜 하늘과 같네.

하늘과 땅과 같은 깊고 높은 마음 부모님 마음 또한 그와 같아서 눈이 없다 해도 미워하는 마음이 없고 손발이 불구라 해도 귀여워 하시네.

내 몸속에서 키워 낳으신 까닭에 온종일 아끼시며 사랑하시네.

일곱째.

손발이 닳도록 깨끗이 씻어준 은혜.

지난날 고우시던 옛 얼굴 아름답고 소담하시던 그 모습 푸른 눈썹은 버들잎 같았고 붉은 두빰은 연꽃빛을 안은듯 은혜가 더할수록 그 모습은 여위셨고 씻기고 빨다보니 손발이 거칠어지네.

자식만을 생각하는 끝없는 노고 어머니의 얼굴에 잔주름만 늘었네.

여덟째.

먼 길 떠나면 걱정하시는 은혜.

죽어서 이별이야 말할것도 없고 살아서 생이별 또한 고통스러운것 자식이 집떠나 멀리 나가면 어머니의 마음 또한 타향에 가있네.

낮이나 밤이나 자식 뒤쫒는 마음 흐르는 눈물은 천줄기 만줄기 새끼를 사랑하는 어미 원숭이 울음처럼 자식 생각에 애간장 다 끊어지네.

아홉째.

자식 위해 애쓰시는 은혜.

부모님 은혜 강 산 같이 소중하여 갚고 갚아도 참으로 갚기 어려워라.

자식의 괴로움 대신받기 원하시고 자식이 고생하면 부모 마음 편치않네.

자식이 먼길 떠났다는말 듣기만해도 행여 나가는길 밤추위 실로 걱정되네.

아들 딸의 고생은 잠시건만 어머니 마음은 오래도록 아프다네.

열째.

끝까지 사랑하시는 은혜.

깊고 무거운 부모님의 크신 은혜 베푸신 큰사랑 잠시도 그칠새 없네.

앉으나 서나 마음을 놓지않고 멀거나 가깝거나 항상 함께 하시네.

어머님 연세 백세가 되어도 팔십된 자식을 걱정하시네 부모님의 이 사랑 언제 그치리이까.

이 목숨 다하면 비로소 떠나시려나.

이렇듯 불보살님의 덕으로 아버님전

뼈를 타고 어머님전 살을 받아 칠성님께 명을 빌어 제석님께 복을타고 석가여래 제도하사 인생일신 탄생하였지만 이런 한량없는 부모님의 은혜를 우리는 얼마나 갚으며 살고 있는가?

3년동안 어머니의 젖을 먹고자라 나이들어 마침내 성년이 되면 인품은 이어받았으나 마음과 행동이 어리석고 어두워서 부모님의 크신 은혜와 덕을 알지 못하고 오히려 불효를 하게 되는데 내 부모를 천대하고 박대하고 구박하며 말과 행동이 거칠어 매사 제멋대로 행동하고

배우자가 때리거나 꾸짖는건 참고 달게 받아들이면서도 내 부모의 충고는 원망하며 성이 다른 어른어게는 소중히 대하면서도 자기의 육친에게는 도리어 소원(疏遠)하게 대한다.

부처님께서는 불효에 대한 과보를 이렇게 말하신다.

불효한 자식이 몸이 무너져 목숨을 마치게 되면 아비무간지옥에 떨어지는데 이 지옥은 길이와 넓이가 팔만유순에 사면은 무쇠성이며 그 주위는 다시 철망으로 둘러쳐 있으며 그 땅은 불길이 맹렬히 타오르고 우뢰가 치고 번개가 번쩍이며 끓는 구리와 쇳물을 죄인에게 들이 부으며 태우고 지지고 볶아대며 칼과 칼날이 비와 구름처럼 공중에서 쏟아져 베고 찌르기를 쉼없이 반복하며 하루에도 천만번 죽고 살기를 반복하니 그 고통과 비통함은 견딜수가 없다고 하셨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것이 참된 효도이며 부모님께 도리를 다하는 것일까?

아무리 맛있는 음식과 좋은 옷으로 봉사하고 전세계를 다 구경시겨 드려도 이 생에 연이 다하면 생사윤회의 길로 다시 접어들어야 하는데 이 한시적인 봉양으로 자식으로써의 도리를 다했다 할수 있겠는가?

최고의 효도 최고의 유산은 바로 불연(佛緣)이다.

부모님께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불법에 귀의하도록 인도하며 임종시 나무아미타불을 염하여 윤회를 벗어나 극락왕생하여 온갖 복락을 누리도록 해드리는 것이 가장 큰 효(孝)이다.

이런 노래가 있더라.

불러바도 울어바도 못오실 어머님을

원통해 불러보고 땅을치며 통곡한들

다시못올 어머니여 불초한 이 자식은

생전에 지은 죄를 엎드러 빕니다.

세상 모든 자식들이 돌아가시고 나서야 후회한다.

세상 모든 자식들이 돌아가시고 나서야 반성한다.

세상 모든 자식들이 돌아가시고 나서야 그리워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부모님의 뜻을 존중해 드리고 자주 찾아뵙고 불보살님과의 인연이 단절되지 않도록 도와 드리는것 그것이 자식이 할수있는 최고의 효도일 것이다.

 
 

COPYRIGHT ⓒ SEONGJUDAEJA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